본문 바로가기

IT/시사

온라인 쇼핑 채널의 새로운 도전

◈ 코로나19로 오프라인 매장 구매가 줄고 온라인 쇼핑이 일상화되며, ‘20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성장률은 예상치인 16.5%를 넘어 27.6% 성장을 기록(eMarketer, ‘21.03)

 

1. 배경(왜 이런 사태가 됐는지, 그 이유가 무엇인지)

비대면 소비의 일상화로 전자상거래 시장 확대와 함꼐 유통 업체들의 온라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적 시도는 계속됨

  • 한국의 전자상거래 비중은 37.4%(‘21.Q1)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
    • * 국내 온라인 시장 성장 : 24.2조원(‘10) → 160.6조원(‘20)로 10년만에 6.6배 성장
    • ** 주요 국가 이커머스 비중(소매유통시장 대비 %, ‘21.Q1) : 영국(34.4), 중국(26.7), 미국(13.6)
  •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소비 대중화전자상거래 업체 간 경쟁이 심화되며 국내 유통업 전반의 온라인 전환 가속화
    • - 특히 비대면 쇼핑 급증으로 쿠팡, 네이버쇼핑 등 이커머스 업체는 수혜를 받은 반면 롯데쇼핑, 신세계 등 온‧오프라인을 병행하는 전통 유통업체는 매출 감소
    • - 상품검색, 결제, 빠른 배송까지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하며 고객 접근성이 높은 플랫폼인 네이버, 쿠팡 등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투자 확대 
  • 모바일 기술, AI 등 신기술을 활용한 선호상품 추천, 배송 혁신소비자 편의 서비스가 유통산업의 新경쟁력으로 부
  •  

2. 현재 어떤 상황인지

  • 온라인 유통업체들은 자사만의 플랫폼 경쟁력을 위해 고객 접근성을 높이며 소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개발 및 런칭
    • (네이버쇼핑) 검색포털이라는 강력한 Lock-in*을 기반으로 상품검색, 결제, 배송이 원스톱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스토어 운영
      • *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기 시작하면 기존의 것을 계속 구매하게 되는 현상
      • - (신규서비스) 스마트스토어의 상품거래 활동을 넘어서 이용자들의 체류기간 및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라이브커머스* 서비스 출시
      • * 네이버쇼핑은 상위권 매출 판매자를 중심으로 실시간 방송과 고객과의 실시간 채팅, 관련 교육 등의 전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출시로 6개월 만에 콘텐츠 수가 무려 12배 증가
    • (쿠팡) 국내최대 물류인프라를 바탕으로 로켓배송이라는 차별화된 서비스가 강점인 국내 최대 바잉파워*를 가진 쇼핑채널
      • * 쿠팡에서 1번이라도 상품구매한 고객은 1,179만명(‘19)에서 1,485만명(‘20)으로 26.0% 증가
      • - (신규서비스) 쿠팡직구 중국서비스, OTT 서비스 쿠팡플레이, 신선식품 배달 로켓프레시, 쿠팡 퀵커머스 등 고객과의 접점을 늘리기 위한 공격적 투자 행보
  • (11번가) SK텔레콤의 이커머스 자회사로 아마존과의 제휴를 통해 해외직구 시장을 흡수하여 글로벌 유통 허브플랫폼 구축 추진
    • - (신규서비스) 아마존의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국내 소비자가 선호하는 직구제품을 미리 재고로 확보하고, 11번가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방식(‘21.7월 예정)

 

4. 앞으로 전망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은 어떤 것이 있는지

(시사점) 온라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유통업계의 새로운 시도와 같이 금융권도 디지털 금융시대 경쟁을 위해 혁신적 역량 집중 확대

고객 유치, 상품 판매 등 은행업과 유사성이 많은 유통업의 디지털 혁신 사례로부터 유용한 전략적 노하우 습득 및 활용‧협업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