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research.ibk.co.kr/research/board/economy-news/list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
Weekly IBK경제브리프 경제·금융 관련 이슈 및 트렌드를 제공합니다. 전체건수 669건 2021-08-25 | 조회수 277 2021-08-17 | 조회수 257 2021-08-12 | 조회수 173 2021-08-12 | 조회수 180 2021-08-03 | 조회수 325 2021-07-27 |
research.ibk.co.kr
1. 현재 어떤 상황인지
코로나19 시대에 사람들의 비대면 콘텐츠를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 수요가 급증하며 게임산업의 규모는 크게 성장
- 전 서계 게임산업은 PC/콘솔/모바일 등 플랫폼을 가리지 않고 모든 분야에서 매출이 상승했으며 전년 대비 약 20% 고성장 기록
- 약 200조원 규모로 성장했으며 향후 3년간 평균 7.7%의 성장 기대
- 게임은 全연령 모두의 여가생활이자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변화
-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4050세대의 게임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며, 더이상 '게임 = 1020세대들의 전유물' 이라는 인식이 해소
- ※ 2020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 코로나 기간 게임 이용 경험은 40대(76%), 50대(56.8%)로 조사
- 게임을 활용한 주요 사회적 활동(자료 : 엑센츄어('20))
- 1) 비슷한 흥미를 가진 사람과 연결
- 2) 새로운 친구를 만남
- 3) 기존 친구들과의 연락
- 4) 나에게 맞는 커뮤니티 발견
-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4050세대의 게임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며, 더이상 '게임 = 1020세대들의 전유물' 이라는 인식이 해소
2. 왜 이런 사태가 됐는지, 그 이유가 무엇인지
- 게임 콘텐츠가 단순한 오락물에서 벗어나 가상 공간에서의 생활, 제한된 오프라인 모임대체 등 사람들을 연결하는 언택트 플랫폼의 역할 수행
- '또 하나의 사회'를 형성하는 플랫폼 게임(Gaming as a Platform)이 인기
- 공연, 행사, 모임 등 다양한 오프라인 활동들이 게임 내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실제처럼 구현
- 특히, 가상과 현실을 구분 짓지 않는 MZ세대 중심으로 게임 내 몰입도 향상
- 미국 게임 이용자의 30%가 매일 가상상품(패션, 부동산)을 구매
- '또 하나의 사회'를 형성하는 플랫폼 게임(Gaming as a Platform)이 인기
3. 앞으로 전망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은 어떤 것이 있는지
- 게임은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다양한 기술, 산업, 시업 고객들이 상호작용하는 유기적인 가상 생태계로 진화할 것으로 전망
- *게임 안에서 사회적 활동이 더 많이 일어날수록 현실 세계과 유사한 '지속가능 생태계' 조성
- 기업들은 게임 플랫폼에서 고객들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새로운 소비를 창출할 수 있는 디지털 마케팅 창구로 활용
- (LG전자) 인기게임 '동물의 숲'을 활용한 가상 마케팅을 펼치며 OLED TV 신제품의 차별화된 강점을 효과적으로 강조
- (GUCCI) 테니스 게임 내에서 새로 출시된 테니스복을 착용해보고, 게임 의상을 실제 웹사이트를 통해 구매할 수 있도록 메타버스를 구현
- 특히, 금융권은 협업을 통해 디지털혁신 잠재고객 선점에 집중
- (우리은행) 리그오브레전드 게임의 장기 파트너 계약으로 MZ세대의 놀이문화를 지원하고 잠재 고객들과의 소통 강화
- 우리은행은 LoL 메인스폰서로 '20년에만 약 1,380억원의 마케팅 효과를 얻은 것으로 조사
- (우리은행) 리그오브레전드 게임의 장기 파트너 계약으로 MZ세대의 놀이문화를 지원하고 잠재 고객들과의 소통 강화
- 금융업은 게임산업을 브랜드홍보, 신상품의 테스트 베드 등 다양한 가치가 생성되는 플랫폼으로 인식하고 新부가가치 창출 전략을 검토
- 은행은 디지털 가속화에 따른 기존 산업의 변화를 인지하고, 단순 자금 중개자의 역할을 넘어 비즈니스 간 융합에서 금융의 새로운 혁신을 추구
- 플랫폼 게임 내 Virtual Bank 개설 등을 통해 가상공간內 고객과의 교류 강화 및 메타버스 금융 서비스(환전, 에스크로, 대출 등) 제공을 고려
- 에스크로 : 전자상거래상에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거래안전을 도모하는 서비스입니다. 제 3자가 거래대금 입출금을 공정하게 관리함으로써, 전자상거래상의 약속 불이행에 따른 사고(결제 후 판매자의 상품배송거부, 상품 수령 후 구매자의 결제거부 등)를 예방합니다.
- 플랫폼 게임 내 Virtual Bank 개설 등을 통해 가상공간內 고객과의 교류 강화 및 메타버스 금융 서비스(환전, 에스크로, 대출 등) 제공을 고려
- 은행은 디지털 가속화에 따른 기존 산업의 변화를 인지하고, 단순 자금 중개자의 역할을 넘어 비즈니스 간 융합에서 금융의 새로운 혁신을 추구
'IT >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경제 위기인가, 기회인가 (0) | 2021.08.30 |
---|---|
대안신용평가와 낮아지는 신파일러 대출문턱 (0) | 2021.08.29 |
온라인 쇼핑 채널의 새로운 도전 (0) | 2021.08.29 |
MaaS는 어디까지 왔나 (0) | 2021.08.29 |
금융의 DT (0) | 2021.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