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인공지능

AI 역량검사 | 마이다스아이티 개발자 이야기

황설모 2021. 8. 25. 20:35
  • 과제효과(Task effect)
    • 처음 접하는 과제 유형으로 인해, 검사(혹은 면접) 시 본인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것
    • 횟수를 늘려갈 수 록 나의 능력,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됨
    • 2006 토익스피킹, 2008 발표면접/토론면접, 2010 NCS, 2020 AI전형, 언택트 면접
    • 마이다스아이티 사이트에 백서가 있다.
      • 왜 만들어졌고 무슨 기술 기반 어떤 신뢰도를 갖고 있는지
  • 오해와 진실1 : 검사를 잘 본 것 같은데 왜 떨어졌을까
    • 예일대의 점화 효과 연구
      • 섭취 음료 온도에 따른 11% 판단 변화 발생
        • 판사최대 5년의 형량이 달라짐
    • 면접위원 리스크 = 직관에 의한 판단의 위험성
    • 채용 방식의 과거와 현재
      •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 중에 훌륭한 인재를 쓰는 것 보다 중요한 일은 없다. 인사업무가 워낙 중요해 전담부서와 책임부서까지 두었지만 제대로 돌아가지 않았다.
      • 서류전형, 진적성검사, 실무전형, 임원면접의 프로세스는 1950년대에 시작하여 지금까지 고착된 대규모 공개채용 프로세스다.
    • AI 역량 검사는
      • 평가위원의 편향을 극복했다.
      • 자기소개서, 스펙 평가가 아닌 역량 준비의 평가다
      • 데이터 기반의 채용의 의사 결정이다.
        • 데이터 기반 채용의 모습은?
          • 경기내용, 경기규칙을 시뮬레이션하여 승리할 확률이 가장 높은 한 수 선택
          • 인재상 DATA, H/P역량 DATA를 시뮬레이션하여 H/P의 역량과 유사한 최적의 지원자 선택
        • H/P와의 역량패턴 유사도를 고려한 응시 결과 도출
          • 핵심역량의 파트의 점수가 높아야 뽑힐 수 있다.
      • 영상면접, 성향검사, 전략게임
      • AI와 지원자의 질의 응답
        • 자기소개와 기본질문(자기소개와 지원동기)
        • 상황대처질문(역할연기)
          • 실제로 내가 그 역할을 할때 감정표현, 충실도, 의사소통능력
        • 심층질문 & 맞춤질문
          • 강점,약점에 대한 심층 구조화 질문
          • 외국어 질문 등
        • V3(Vision, Voice, Verbal)
          • Vision : 안면의 움직임, 표정, 감정표현 소통역량
          • Voice : 감정표현 능력
          • 문장을 분석하지는 않음 STT라는 기술사용하요 긍정적인 단어, 긍정적인 어휘, 긍정적인 의사표현을 확인함
            • 긴장수준, 호감도도 확인
        • 딥러닝은 머리가 길면 여자고, 립스틱을 바르면 여자다.라고 한다.
          • 머리가 길고 립스틱을 바른 남자는? 
          • 편향과 편견을 해결하기 위해 기계학습함
          • 기계학습은 이 지원자의 ~~한 점으로 인해 ~~한 결과입니다 라는 답을 내놓을 수 있음
        • 전략게임 검사
          • 자극에 의한 즉각적인 반응 측정
          • 뇌과학 기반 게임
            • 기회 > 신뢰 > 열정 > 전략 > 실행 > 성과
            • 신뢰 : 자극과 환경에 대한 가치의 신뢰 수준 판단
            • 자극에 대한 가치판단과 펴ㅇ가를 통해 에너지 발현
            • 가치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한 변수추출과 모색
            • 가장 효과적인 전략의 선택과 성과 중심적인 행동
          • 성향검사
            • 조직 부적응성 검증 / 자기보고식 검사
            • 170문항, 리커트 6점 척도
            • MTMM = Multi Traits Multi Methods
              • 다수의 기법으로 다수의 역량을 중복 측정함으로써 평가 신뢰도 향상
              • Papper Vs AI역량검사
                • Papper test
                  • 결과데이터, 정답여부, 인지데이터, 심리학 기반, 모두 같은 문제, 적은 분석 Tool
                • AI 역량검사
                  • 행동데이터+결과데이터
                  • 문제해결접근과정+정답여부
                  • 인지, 성향 및 감정데이터
                  • 뇌신경과학 기반
                  • 응시자별 다른 문제(공통+개별문제)
                  • MMTM
                  • 실제 저성과자 데이터
          • 기존의 시험들과 무엇이 크게 다른가?
            • 기업 별 Customizing을 통해 기업적합도
            • 개인별 Customizing을 통한 최적화 정보
          • 기업마다 높은 점수, 낮은 점수를 매기는 기준이 다르다
        •  
        •  
  • 게임을 잘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나요?
    • 정답률이 아닌 수행과정에 집중합니다.
        • 소통역량 : 영상면접
        • 성장역량 : 성향검사
        • 성과역량 : 전략게임
  • 인공지능도 정확하지 않지 않나요?
    • 의자 암진단  96%
    • 의사 + 인공지능 : 99%

 

FAQ
  • 시뮬레이션
    • 서비스 직군에서의 고성과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