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가격 상승…스태그플레이션 심화될까?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061820201
[테샛 공부합시다] 농산물 가격 상승…스태그플레이션 심화될까?
[테샛 공부합시다] 농산물 가격 상승…스태그플레이션 심화될까?, 테샛 경제학 (82) 애그플레이션과 공급충격
www.hankyung.com
한국은 올해 5월 유독 강수량이 이전과 비교하면 많았다고 한다. 반면 태평양 건너 미국은 대지가 쩍쩍 갈라지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특히 캘리포니아 인근은 저수지 수위가 낮아져 개인 보트들이 이동하지 못하고 갇혀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캘리포니아는 4월부터 시작된 가뭄으로 저수지나 지하수가 말라가고 있어 농업에 종사하는 이들의 피해가 엄청나다. 이 지역 가뭄이 한국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농산물 가격이 상승하는 애그플레이션
캘리포니아는 미국 채소 생산의 3분의 1, 과일·견과류 생산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 사태로 미국 내 농산물 가격이 급등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하지만 미국만 가뭄을 겪고 있는 것은 아니다. 남미의 브라질 또한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다. 강수량이 예년보다 크게 줄어 커피와 오렌지 등의 생산이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의 커피와 오렌지 생산국이다. 전체 커피와 오렌지의 약 30%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이처럼 미국, 브라질과 같이 넓은 농토에서 농산물을 대량 생산하는 나라들이 가뭄으로 생산량이 감소한다면 어떤 현상이 발생할까? 곡물·채소·과일 등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생활필수품이기 때문에 일정량의 소비를 유지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공급이 크게 줄어들어도 수요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기 때문에 가격이 크게 상승하는 ‘애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이란 농업(agriculture)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용어다. 농산물 가격 상승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 충격
농산물도 원자재에 속하기 때문에 농산물 가격 상승은 이를 원료로 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의 생산 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 기업은 늘어난 비용 때문에 생산을 줄이거나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반영하게 된다. 최근에 농산물 가격뿐만 아니라 구리, 철광석 등 산업에 사용되는 각종 원자재와 이를 운반하는 해운 운임비도 상승하여 ‘*총공급(Aggregate Supply)’ 측면에 충격을 주고 있다. 이를 ‘공급 충격(Supply Shock)’이라고 한다. 공급 충격이란 상품이나 서비스의 급격한 공급 증가 또는 감소에 따른 가격 변화를 말한다. 이때 미국과 브라질의 가뭄은 총공급곡선이 좌측으로 이동(그림)하는 데 영향을 주어 경기가 침체되는 상황에서 물가도 동시에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1970년대 석유 위기 당시 원유 가격의 급등으로 스태그플레이션이 세계적으로 발생하기도 했다.
한국 또한 농산물을 자급자족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농산물을 수입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이나 브라질의 가뭄으로 각종 농산물 가격이 요동치게 되면 이를 원료로 수입하는 국내 기업의 생산 비용도 상승하게 된다. 생산자 수입물가의 상승은 장기적으로 소비자 물가에도 점진적으로 반영된다. 총공급 측면에서의 물가 상승이 기업 측면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 수요에도 영향을 준다.
*총공급(aggregate supply, AS)은 경제학에서 주어진 기간 동안에 국가경제에서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공급의 총합
**1973∼1974년 중동 전쟁(아랍·이스라엘 분쟁) 당시 아랍 산유국들의 석유 무기화 정책
1978∼1980년의 이란 혁명으로 인한 석유 생산의 대폭 감축으로 석유의 공급이 부족해지자, 국제 석유 가격이 급상승하고, 그 결과 전 세계가 경제적 위기와 혼란을 겪은 사건을 말한다.
세계적으로 풀린 유동성
하지만 최근 물가 상승 속도가 높아진 근본 원인을 살펴보자. 앞서 언급한 원자재 가격의 전반적인 상승은 2008년 미국의 금융위기 이후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이르기까지 각국이 위기가 닥칠 때마다 시중에 푼 엄청난 유동성이 제일 큰 원인으로 분석된다. 돈은 풀었지만, 경기 심리가 악화되고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실물 경제가 아닌 주식, 부동산, 원자재와 같은 자산 시장으로 유동성이 흘러가 가격만 높이고 있다. 특히 원자재의 경우 가격 상승 속도가 심상치 않다는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물가만 상승하고 경기는 살아나지 않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심화될 수도 있기 때문에 통화당국은 최근의 물가 상승 추이를 면밀히 관찰하며 정책 대응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3문장 요약>
평소보다 강수량이 많았던 우리나라와 다르게 해외(미국, 브라질 등)는 심각한 가뭄으로 수확량이 크게 줄었고 이는 소비자 물가상승까지 이어졌다. 코로나로 인해 경기가 침체된 상태이지만 총공급량도 줄어 물가도 상승하는 상황이다. 물가가 빠르게 오르는 큰 요인은 자금의 유동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정책이 필요하다.
<내 생각>
농수산물, 국제유가의 가격상승 원인이 궁금했는데 미국, 브라질의 가뭄으로 인한 생산량이 급감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우리나라는 생각보다 수입 농수산물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제는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물가 상승을 늦추기 위해서는 내수 시장을 더 탄탄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토의주제>
농수산물 수입의존을 낮추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까?
http://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3932
[인터뷰] “식량안보, 국가가 책임의지 다잡아야 할 때” - 한국농정신문
코로나19와 기후위기로 점철된 최근 1년의 극한 상황은 전 세계에 식량 문제의 심각성을 각인시켰다. 이는 국제곡물가 파동으로 인해 여실히 현실로 이어지고 있으며 우리 정부도 비로소 식량안
www.ikpnews.net